• 2025. 4. 3.

    by. 백합나무사랑

     

     

     

     

    본 글은 투자 참고용 자료이며, 투자 결정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4월 2일 발표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은 대한민국의 주요 수출 산업과 관련 기업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이 정책은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한국 등 특정 국가에는 추가 관세(최대 25%)**를 적용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트럼프 상호관세 정책 핵심 내용

    기본 10% 관세 부과: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 적용
    추가 관세 적용: 무역 장벽이 높은 국가에 대해 차등 관세(한국 25%, 중국 34%, 일본 24% 등) 부과
    특정 품목 관세 강화: 자동차·철강·전자제품 등 기존에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면제 대상이 될 가능성이 낮음
    소액 면세 조항 폐지: 중국·홍콩발 800달러 이하 상품 면세 폐지로 한국 기업들에도 영향 가능성

     

    2. 대한민국 주요 산업 및 관련 종목 정리


     

    (1) 자동차 산업


    미국은 한국 자동차 수출의 최대 시장 중 하나로, 관세가 부과될 경우 수출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 주요 종목
    현대차(005380) → 미국 내 생산 확대 중이지만, 관세로 인한 원가 상승 부담
    기아(000270) →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아 타격 예상
    현대모비스(012330) → 전장·모듈 수출 감소 가능성

     

    ✅ 전망 및 대응 

     미국 내 생산 확대를 통해 관세 영향을 줄이려는 전략 추진

     전기차·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부문 강화로 차별화 필요



    (2) 전자·반도체 산업


    미국은 한국 전자제품과 반도체의 주요 시장이며, 관세 부과 시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요 종목
    삼성전자(005930) → 스마트폰·TV·반도체 등 대미 수출 영향 예상
    LG전자(066570) → 가전제품·디스플레이 등 수출에 차질 가능성
    SK하이닉스(000660) → 반도체 공급망 변동성 증가로 수익성 영향

     

    ✅ 전망 및 대응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 확대(삼성전자·SK하이닉스)
    고부가가치 반도체 개발을 통해 수익성 유지 전략 필요



    (3) 철강 산업


    철강 제품은 2018년부터 이미 25%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번 정책으로 추가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 주요 종목
    POSCO홀딩스(005490) → 조선·건설·자동차용 고급 철강재 중심
    현대제철(004020) → 자동차 강판·건설용 H형강 공급
    동국제강(001230) → 건설·조선업향 철강 제품 생산

     

    ✅ 전망 및 대응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동남아·유럽 시장 확대
    고부가가치 철강 제품 생산으로 차별화

     

     


    (4) 배터리·전기차 산업


    전기차 배터리 관련 기업들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로 인해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지만, 부품 수입 관세가 문제될 수 있음.

     

    📌 주요 종목
    LG에너지솔루션(373220) → GM·테슬라 등에 배터리 공급
    삼성SDI(006400) → BMW·스텔란티스 등과 협업
    SK온(비상장, SK이노베이션(096770) 통해 간접 투자 가능) → 포드·현대차와 협력

     

    ✅ 전망 및 대응
    미국 내 배터리 공장 확대 추진
    배터리 소재·부품 현지 조달 비율 확대



    (5) 희토류 산업


    희토류는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국방산업 등에 필수적인 원자재로, 중국이 전 세계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중국산 희토류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 희토류 관련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큽니다.

     

    📌 주요 종목
    유니온머티리얼(047400) → 희토류 영구자석 및 첨단 세라믹 제조
    티플랙스(081150) → 희토류 가공 및 특수 합금 생산
    EG(037370) → 희토류 정제 및 친환경 소재 개발

     

    ✅ 전망 및 대응
    중국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한국 기업들의 기술력 강화 필요
    미국·유럽의 희토류 대체 공급망 구축 시 한국 기업의 역할 확대 가능


     

    (6) 화장품.소비재 산업

     

    화장품·의류·식품 등 소비재 기업들은 미국에서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지만, 관세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음.

     

    📌 주요 종목
    아모레퍼시픽(090430) → 미국 시장 내 점유율 확대 중
    LG생활건강(051900) → 화장품·생활용품 수출 증가 추세
    F&F(383220) → MLB 브랜드 등 의류 사업 미국 확장

     


    ✅ 전망 및 대응
    미국 내 유통망 강화 및 현지 마케팅 확대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으로 가격 인상 대응

     

     


    (8) 추가 종목 


    코스모신소재(005070) → 배터리 양극재 생산, 미국 시장 공략
    삼성전기(009150) → 전장용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미국 수출 영향
    한화오션(042660) → 방산·조선 부문 미국 수출 관세 영향 가능성


     

    3. 종합 결론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은 대한민국의 자동차, 전자, 철강, 배터리, 희토류, 화장품, 소비재 등 주요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자동차·철강·반도체 산업은 관세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 확대, 수출 다변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의 전략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 관점에서 관세 영향을 덜 받는 내수 기업,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희토류 관련주 등의 대안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 기업들은 무역 환경 변화에 맞춘 장기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