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4. 3.

    by. 백합나무사랑

     

     
     
     
    본 글은 투자 참고용 자료이며, 투자 결정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근 미국 정부는 국가 안보 문제를 이유로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에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을 매각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따라 바이트댄스는 미국 투자자들에게 틱톡의 미국 운영권을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주식 시장에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틱톡 미국 사업 매각 개요


    미국 정부는 틱톡이 중국 정부와의 데이터 공유 가능성을 우려하며, 틱톡의 미국 내 사업 매각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오라클(Oracle)이 미국 사용자 데이터 관리를 담당할 예정이며,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지분 20% 미만을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소셜 미디어 및 IT 산업에 큰 변화가 예상되며, 국내 관련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국내 관련 기업 및 주식


    다음 기업들은 틱톡과 광고 및 마케팅 관련 협업을 맺고 있어, 틱톡의 사업 확장 및 변화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1. 모비데이즈 (MobiDays)
    모비데이즈는 애드테크 및 퍼포먼스 마케팅 전문 기업으로, 틱톡의 공식 파트너사로 선정되어 광고 및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틱톡의 성장과 함께 모비데이즈의 광고 사업도 확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와이즈버즈 (Wisebirds)
    와이즈버즈는 RTB 기반 온라인 광고 대행 및 모바일 광고 기획 기업으로, 틱톡의 ‘틱톡 마케팅 파트너 프로그램’에서 크리에이티브 부문 공식 파트너사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3. FSN
    FSN은 디지털 마케팅 그룹으로, 자회사 비헤이브글로벌이 틱톡과 광고 대행 계약을 체결하여 중국 및 글로벌 시장에서 광고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 이엠넷 (EMnet)
    이엠넷은 디지털 마케팅 전문 기업으로, 틱톡 광고 대행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담당하며, 광고주들에게 틱톡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5. 플레이디 (PlayD)
    플레이디는 KT그룹의 온라인 광고 대행사로, 틱톡과 공식 리셀러 계약을 체결하여 국내 및 일본, 싱가포르 등에서 틱톡 광고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투자 시 고려사항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한 기업들은 틱톡과의 협업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 소셜 미디어 시장의 변화와 각 기업의 대응 전략을 면밀히 분석하여 투자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시장 동향 분석: 글로벌 소셜 미디어 및 광고 시장의 변화가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야 합니다.
    기업의 대응 전략 파악: 각 기업이 틱톡 매각에 따른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전략을 살펴봐야 합니다.
    리스크 관리: 글로벌 정세와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를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투자 위험을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결론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은 글로벌 소셜 미디어 시장의 재편을 의미하며, 국내 관련 기업들도 이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네이버, 카카오,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 기업뿐만 아니라 틱톡과 직접 협업하는 모비데이즈, 와이즈버즈, FSN, 이엠넷, 플레이디와 같은 광고·마케팅 관련 기업들이 주목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시장 변화와 각 기업의 대응 전략을 신중히 분석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